-
나전귀갑문함(花, 雲)
홍송, 옻칠, 나전, 채화
花 : 300×200mm, 雲 : 240×160mm
홍송으로 만든 백골 위에 옻칠을 하고, ‘귀갑문(龜甲文)’을 나전으로 표현하였다.
무병장수(無病長壽),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은 인간이 바랐던 소망 중 하나이다.
옛 선조들은 자연에서 장수(長壽)를 상징하는 다양한 요소를 찾았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동물은 ‘거북’이다. 거북의 형태를 하고 있거나
거북의 무늬가 있는 물건은 장수를 염원하는 마음이 담겨 있다.
현대사회처럼 바쁜 일상 속에서, 귀갑문의 의미를 떠올리며
나와 주변 사람들의 건강을 한 번 살펴보는 것은 어떨까? -
‘쉼표’(브로치)
은(950, 925), 칠보
55 × 70 × 15 mm (3pcs) 65 × 80 × 12 mm (4pcs)
창덕궁 후원의 정자에서 조선시대의 왕들은 휴식을 취하고, 여유를 느꼈다.
이 곳은 그저 바라만 보는 정원이 아니다.
자연환경과 그 속에 함께 어우러진 정자, 그리고 그 길을 걷는 ‘나’가 공존한다.
그래서 조선시대의 왕들이 휴식공간으로 이용했던 것일까?
그들은 쉬어가면서 무슨 생각을 했을까.
여러 가지 생각이 들면서도 한편으로 마음이 편해지는 공간이다.
여기까지 바쁘게 달려온 나에게 쉬어가는 삶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려주었다.
언젠가 나도 함께 아름다운 경치를 만들어 줄 ‘쉼표’를 찾을 수 있을까.
나에게 찾아올 ‘쉼표’가 ‘자연스러움’에서 나왔으면 좋겠다는 염원을 담아
자연 속에 위치한 나만의 ‘쉼표’를 상상해본다.